본문 바로가기
<
돈버는 이야기(정부 복지정책)

청년교통비지원 수당드림 신청방법

by 금융 정책지원[news-T] 2021. 7. 19.
반응형

청년 교통비 지원 수당드림 신청방법

교통비지원
청년교통비지원

이 사업의 지원 대상은 대전시에 6개월 이상 거주하는 만 18~34세로 가구 중위소득 150% 미만인 미취업 청년이다. 원칙적으로 재학생은 제외되지만, 대학과 대학원 졸업학년 재학생(휴학생 포함)은 포함된다. 청년취업 희망카드는 학원 수강료, 도서구입비, 시험 응시료, 면접 활동비, 식비 등 구직활동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오늘포스팅내용보다 최신내용확인이 필요하시분은 아래 링크(사이트)를 남겨놓겠습니다.!!!

http://www.gjdream.kr

 

교통수당드림

신청조건 - 공고일 기준 주민등록상 광주 거주    (3년이상 계속 또는 합산 10년이상)--> - 만19세 이상 만34세 이하 1986. 1.2. ~ 2002. 1. 1. 출생자

www.gjdream.kr

1. 모집기간, 지원대상, 신청방법

❍ 모집기간 : 2021. 7. 1.(목) 09:00 ~ 7. 9.(금) 18:00 / 9일간  
   ❍ 지원대상 
     - 공고일 기준 광주광역시 주민등록자
     - 구직활동 의지가 있는 만 19세~ 34세 미취업 청년
     -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원
   ❍ 모집인원 : 1,800명
   ❍ 지원내용 : 구직 청년 교통카드 지원(1인당 30만 원)
     - 30만원 완충된 대중교통 전용카드 1회 지급
     - 사용처 : (전국) 시내버스, 고속버스, 지하철, KTX  /  (광주) 택시 
      ※ 무인발권기 이용 불가 / 코로나19로 대인 발권 축소, 발권 시 터미널․역에 문의 요망
   ❍ 신청방법 : 온라인 신청(http://www.gjdream.kr)

2. 지원자격 : 3가지 조건 모두 충족

   ❍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19세 ~ 34세 청년
     - 공고일 기준 주민등록상 광주광역시 거주자 
     - 2021.1.1. 기준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1986.1.2. ~ 2002.1.1. 출생자)
   ❍ 미취업 청년(재학생 제외) 
      - 최종학력증명서(졸업증명서), 고용보험 및 건강보험 관련 서류 확인
       (예외) 사이버대 및 방송통신대 재학생 / 취업 준비를 위한 단순 아르바이트생(주 30시간 미만 근로)은 신청 가능
   ❍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원(건강보험료 기준)
     - 신청인이 포함된 가구의 2021년 4월~6월 건강보험료 및 가구원 수 기준

※ 2021년 중위소득 150% 이하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표

가구원수 기준중위소득
150%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월/원)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
1 2,742,000 94,467 69,399 95,459
2 4,632,000 159,583 160,445 161,571
3 5,976,000 206,575 220,777 209,941
4 7,314,000 252,295 277,765 257,849
5 8,636,000 296,707 329,659 308,297
6 9,943,000 354,781 393,994 380,152
7 11,246,000 414,255 456,308 449,388

3. 지원제외 대상 

· 생계급여 수급자
· 재학생(휴학생 포함), 취업자
· 군 복무자 및 군복무 대체 근무자(산업기능요원, 사회복무요원 등)
· ’ 17년 ~ ’ 20년 교통수당드림(구직 청년 교통비 지원사업) 참여자
· 정부 및 지자체 주관 취업활동 지원 사업 참여 중인 자
 - 광주 청년드림 수당, 고용노동부 청년 구직활동수당, 취업성공 패키지, 
   내일 배움 카드, 실업급여 등

· 정부 및 지자체 주관 일자리 지원 사업 참여 중인 자
 - 일 경험드림 사업, 공공근로, 자활사업, 청년취업인턴제 등  
· 정부 및 지자체 주관 자산형성 지원사업 참여 중인 자
 - 청년 13(일+삶) 통장, 희망키움 통장, 내일키움 통장, 청년 내일 채움 공제 등
※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전산시스템 등으로 중복수혜 여부 확인 
※ 상기 사업시행 시에도 중복수혜 확인을 하므로, 향후 위 사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경우
   지원 제외되지 않도록 반드시 확인 요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