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당연시 되어버린 직장인들의 투잡, N잡으로 인해 추가 소득이 발생하신 분들이 계실겁니다. 그로인해 연말정산 말고 추가적인 종합소득세 신고도 해야만 하죠.
보통 그 신고기간은 5월이라 많은 분들이 이때가 되면 골머리를 앓습니다. 저 또한 마찬가지였죠. 안내문으로 날아온대로 아무리 해도 무슨 100만원이 넘는 돈이 추가 세금으로 내라는 것이었습니다.
해결 방법은 간단합니다. 바로 내가 직접 모든 것을 입력하는 직접입력을 통해 들어가시면 오히려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여러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기에 연동시킬 수 있습니다. 그 과정을 하나하나 알려드릴게요.
직장인 종합소득세 신고 연말정산 자료 불러오는 법
먼저 종합소득세 신고 안내문을 카톡으로 받으신 분들은 이런 안내문을 받으셨을 겁니다.
소득이 2000만원이 넘어가는 정도로 규모가 커진다면 모르겠지만 그 정도가 아니시라면 아마 저와 같은 단순경비율 처리 대상자이실 겁니다. 그런에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이 있는데요. 위에 보시면 '모두채움 제외'라고 표시되어있죠?
저는 처음 저 모두채움 제외를 못보고 모두채움으로 진행했다가 한 2주를 골머리 아팠답니다. 나중에서야 발견하고 방법을 찾다가 이 방법으로 해보게 되었습니다.
종합소득세 연말정산 자료 불러오기
문제는 로그인 방식이었습니다. 가입해서 아이디로 로그인할 경우 연말정산 신고 자료는 불러올 수 없었던 것입니다. 바로 공동인증서로 로그인 하시거나 간편인증 로그인 하시면 됩니다.
이후 모두채움 관련 서비스로 들어가지 마시고 그냥 신고/납부로 들어가셔서 직접 종합소득세 일반신고(정기신고)로 들어가주세요. 단 5월 이내에 하실 경우만 여기에 해당되고 만약 5월을 넘기신 경우에는 아래 사진처럼 '기한후 신고'로 들어가셔야만 합니다.
종합소득세 기한 후 신고
일단 기한 이내든 기한 후든 상관없이 정기 신고로 들어가시면 어렵지 않게 모든 것이 순차적으로 진행됩니다. 제가 초반에는 사진을 찍다가 갈수록 사진을 안찍었더라고요. 나머지는 글로서 설명해드릴게요!
종합소득세 신고
일단 정기신고에서 자신의 주민등록 번호 옆에 '조회'를 눌러 신고자의 정보를 불러와주세요. 그리고 아래로 내리셔서 휴대전화번호 정도만 입력하시고 '기장의무'란에 본인의 입장에 맞는 사항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저의 경우 '간편장부대상자'를 선택하면 되더군요. 대부분 사업자를 내지 않으셨다면 여기에 해당하실겁니다.
이후 아래에 소득종류를 선택해주세요. 일단 직장인이시라면 근로소득 선택은 필수이시고, 이외에 스마트스토어나 기타 소득으로 수익이 발생하셨다면 사업소득을 선택해주세요. 만약 직장이 끝나고 추가로 아르바이트를 통해 소득을 얻으셨다면 근로소득으로 들어가실 거에요.
종합소득세 일반신고
관련사항에 대해서는 안내문으로 날아온 내용에 포함되어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소득 종류를 선택하셨다면 아래에 '입력'버튼을 통해 안내문으로 날아온 업종코드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세요. 그리고 '수정'버튼을 통해 수익금액을 그대로 입력해주세요. 업종코드를 입력하시면 단순경비율이 알아서 입력되어 세금산출을 도와줍니다.
이제부터는 술술 풀리실겁니다. 다음으로 넘어가시면 '이전 연말정산 자료 불러오기'라는 것이 떡하니 보이실겁니다. 이제 자세히 읽어보며 선택할 것만 체크하며 넘어가시면 모든게 알아서 입력됩니다.
시스템과 연동되어 필요없는 것을 건너뛰시겠어요? 라는 화면도 나오는데요. 진짜 필요없는지 확인하신 후 그냥 다음으로 넘어가시면 됩니다.(안내 팝업창에 상세히 안내해줍니다.)
순차적으로 터치하다보면 순식간에 신고완료 창에 도달합니다. 신고 금액을 확인하시고 확정을 누르시면 자연스럽게 뒤이어 지방세 신고창으로 넘어갑니다.
저는 여기서 안도의 한숨을 내쉴 수 있었답니다. 처음에는 170만원 넘던 세금이 3,700원으로 확 줄었으니까요.
하여튼 이렇게 확정 후 지방세 신고까지 마무리 하면 세금 납부창에 바로 확인됩니다. 거기서 납부하셔도 되고, 카드가 안먹히거나 하시면 나중에 아래 화면에서 찾아들어가 납부 하시면 됩니다.
종합소득세 스마트폰 신고
모두채움 자동 시스템 그대로 적용 시 주의사항
모두채움 자동 시스템의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 시 세금 산출에 문제가 있습니다. 세세히 확인하고 하지 않는 이상 안내도 되는 돈을 산출하는 경우도 많고, 오히려 돌려받을 세금이 있다고 잘못 산정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즉 일일히 확인해야 한다는 점 절대 잊지 마세요. 세금을 돌려받는 줄 알고 돌려받을 계좌까지 입력했는데, 이후 확정 전 자료를 확인하지 않는다면 갑자기 세금 내라는 소리를 들으실지도 모릅니다.
저도 이번에 모두채움을 이용해보려고 했다가 확정 전 확인을 통해 돌려받는 것이 아닌 80만원 상당의 세금을 내야하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물론 일반 정기신고를 통해 이전 연말정산 자료를 불러와 모두 공제받을 수 있었지만요.
저처럼 종합소득세 신고가 처음이신 분들은 아마 많이 헤매이실 것이라 생각됩니다. 너무 혼자만 하려고 아등바등하지 마시고 제 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